바람의나라/생산의 이해

생산에 필요한 준비과정2

Beni88 2020. 9. 25. 23:57
반응형

이전 준비과정1에서 맥가이보를 생산도구로 사용하지 말라고 언급했었다.

우선, 생산도구란 단단한약막대기, 단단한집게 등 물품을 생산할 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맥가이보로 이 도구들을 대체할 수 있으나 가장 큰 문제점이 있다.

바로 패 시, 재료소멸에 대해서 보호할 수 없다.

 

생산재료를 채집하고 물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에 재료가 소멸된다. 

기껏 여렵게 채집하거나 구매한 재료들이 소멸된다면 얼마나 아까운가.

따라서, 생산도구에 재료보호부적을 발라준다.

재료보호부적을 바르는 방법은 나중에 아이템 강화쪽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강화슬롯부적(강슬부)을 통해서 생산도구에 슬롯을 뚫고

뚫린 슬롯에 재료보호부적을 발라서 실패 시, 소멸되는 재료를 보호한다.

재료보호부적의 종류는 초급부터 전설등급까지 있는데

일반적으로 값이싼 재료보호부적은 상급, 고급재료보호부적이며 

갑옷장식1에 들어가는 값비싼 재료의 경우 최고재료보호부적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재료보호부적을 줄여서 재보부라고도 한다.

 

 

즉, 품을 제작할 땐, 꼭 생산도구에 재보부를 발라야한다고 머릿 속에 기억해두면 된다.

장인의집에가거나 세계후를 통해 재보부 발라줄 사람을 찾는다면

강슬부와 재보부를 주고선 발라달라고 하면 거의 90% 이상은 그냥 발라줄 것이다.

무턱대고 하는 사람의 경우 대부분 재료가 날라가는 줄도 모르고 물품을 제작한다.

 

일반적으로 숙련단계 이하에서는 상급재료보호부적을 바르면 왠만해선 재료가 날라가지 않으며

장인단계 이하에서는 고급재료보호부적, 그 윗단계에서는 최고재료보호부적을 사용하면 된다.

물론 재료보호부적을 쓰더라도 일부 재료가 소멸될 수는 있으나 극소량이다.

 

추가로 일명 생산셋이라고 불리는 아이템이다.

꼭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있으면 좋은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생산셋은 투구와 갑옷에 생산 및 강화와 관련된 강화가 된 아이템들을 말하며

일반적으로는 투구는 연홍 or 연청

갑옷은 산타복 or 해골갑옷 등에 많이들 적용한다.

 

 

생산셋에 사용되는 아이템은 어떠한 아이템에도 적용해도 상관은 없지만

맥가이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생산무기의 내구도를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연홍이나 연청투구에 생산에 필요한 강화를 하며

갑옷의 경우 거의 의미가 없다.

 

강화되어있는 것을 보면 

생산성공률 / 강화패널티감소가 붙어있는데

생산성공률의 경우 물품제작 시, 제작성공률을 올리는 것이며

강화패널티감소는 강화실패 시 발생하는 내구도 감소를 일정량 막아준다.

 

생산셋은 필수적인 요소가 아니므로 차후 생산셋에 관련된 설명을 따로할 예정이다.

따라서 지금은 결론만 말하자면 생산성공률 18%이상 붙어있는 아이템을 구매한다면

앞으로 생산컨텐츠를 할 때 좀 더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준비과정1과 2를 다 마쳤다면 이제 생산이라는 컨텐츠를 시작해도 좋을 것이다.

다음편부터는 각 생산기술의 제작품목들을 알아보고 

어떠한 품목들이 값이싸고 가성비가 좋은지 확인하면서 생산단계를 올려보도록 하자.

반응형